오도카니
-
우리는 말할 수 있을까, 읽(들)었다고_자고세 220805&0814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8. 16. 19:47
『스피박의 대담』(가야트리 스피박 지음, 새러 하라쉼 편집, 이경순 옮김, 갈무리, 2006)을 한 주에 한 장씩 읽고 있다. 역시나 쉽지 않지만, 천천히 가 보려 한다. 기록도 이렇게라도, 몰아서라도, 발제문만 올려서라도, 어떻게든 이어 가 보려 한다. 그러다 보면 뭐가 돼도 되겠지. 지난함 속에서, 3장은 그나마(자의적으로나마) 몇 가지는 건진 것 같다. 오래전 어디선가, 해체론과 동양철학(특히, 노장 사상과 불교)의 상관관계에 대해 들었던 것도 어렴풋이 떠올랐고. 가령, “무한 퇴행, 즉 이론적 형태를 최종적으로 근거 지으려고 하는 일이 결코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를 철저히 고찰하면서 본질 문제를 검증해 가는 것”은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을, “인간이란 지금..
-
한 치 앞도 못 보자_자고세 220727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7. 28. 18:38
어제 저녁(7/27)에 진행된 '자고세'(자본주의 고민 세미나)에서는 『스피박의 대담』(가야트리 스피박 지음, 새러 하라쉼 편집, 이경순 옮김, 갈무리, 2006) 1장을 함께 읽었다. 어렵다, 역시나(특히, 보편적 지식인이랑 단독적 지식인 이야기....). 지금 뭐라 정리할 수는 없겠고, 일단 계속 읽어 볼 생각이다. 김윤우 선생은 벌써부터 다 읽을 생각 말고 다음 주에 한 장 읽어 보고, 그때 괜찮으면 또 한 장 읽기로 하고, 그다음에 또.... 그래, 어차피 한 치 앞도 못 보는 인생, 세미나도 그래야겠지, 그럽시다, 그래요. 그래도 '교섭'(negotiation)이라는 용어는 새삼스레 흥미로웠다. 역자 서문에 의하면 교섭이란 "포스트식민주의, 맑스주의, 페미니스트 글 읽기를 아우르는 스피박의 주요..
-
그들이 결코 원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살아남기_자고세 220715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7. 18. 17:16
지난 금요일(7/15), 『체 게바라 혁명가의 삶 2』(존 리 앤더슨 지음, 허진·안성열 옮김, 열린책들, 2015. 구판은 『체 게바라, 혁명적 인간』, 플래닛, 2010)을 드디어 마무리했다. 1176쪽(구판 기준)을 3개월에 걸쳐 다 읽었으니, 〈북클럽 『자본』〉만큼은 아닐지라도 대단원 또는 중단원의 막은 내렸다 할 수 있겠다. 나-우리는 이 책을 통과(痛過)하며, 동시에 이 책은 나-우리를 통과하며 어떤 상흔을 남겼는가. 모르긴 몰라도 내가 20대에 흠모했던 체 게바라와 지금 바라보는 체 게바라는 분명 다른 모습이라는 것. 그리고 또 언젠가, 아니 어쩌면 앞으로 꽤 자주 체 게바라를 떠올리고 찾게 될 거라는 것. 그건 아마 내가 그때도 여전히 뭔가 꿈꾸고 또 뭔가 시도하고 있다는 뜻이겠지. (최근..
-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_자고세 220701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7. 2. 09:34
어제 저녁(7/1)에 진행된 '자고세'(자본주의 고민 세미나)에서는 『체 게바라 혁명가의 삶 2』(존 리 앤더슨 지음, 허진·안성열 옮김, 열린책들, 2015. 구판은 『체 게바라, 혁명적 인간』, 플래닛, 2010) 25장을 읽었다. 제목은 '게릴라 분기점'. 책도, 그의 삶도 이제 절정으로 치닫고, 우리는 예정된(?) 이별을 앞두고 있다. 체는 또 무엇을, 어떻게 증명하려 하는가. 요약 발제문(아래 첨부)에는 적지 않았지만, 체와 그라나도의 '차이'에 대한 서술이 맘에 깊이 남았다. 총에 달린 조준경을 통해 그들은 각자 다른 것을 보았다고, 체는 사살해야 할 적을 그라나도는 적 옆의 가족들을. 다시 확인하는 둘의 분기점. 지금 나는 무엇을, 어떻게 볼까, 보아야 할까, 보았다 할 수 있을까(신동엽, ..
-
"비록 혼자라도"_오저세 오뉴월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6. 23. 16:26
지난 5월 16일, 이런 글로 시작을 위한 시작을 알렸다. 명색이 '저널리즘 스쿨'인데, 관련 활동이 전무하다시피 합니다. 부끄럽고요, 시작을 위해 일단 시작합니다. 역시나 읽고, 생각하고, 이야기 나누는 것부터. 그런데 왜 그 첫발이 안수찬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 교수(전 『한겨레』 기자)의 박사학위 논문일까요? 지난해 2월, 그가 오래 일했던 신문사를 떠나 학교로 옮긴다는 소식을 듣고 저는 이런 걸 끄적인 적이 있습니다. "'한 줌도 안 되는 권력'으로 설치는 건 검찰인가, 언론인가. 양비론이 주는 짜릿함도 좋고, 양시론이 주는 안온함도 좋다(동시에 둘 다 나쁘다). 수많은 대중을 단숨에 적으로 돌린 그의 한 마디가 선민의식의 발로였을지도 모른다만, 한국 저널리즘에 뚜렷이 남긴 그의 족적이야 쉽게 ..
-
“나 지금 잘하고 있어?”_자고세 220609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6. 13. 14:57
지난 9일(목) 저녁에 진행된 '자고세'(자본주의 고민 세미나)에서는 『체 게바라 혁명가의 삶 2』(존 리 앤더슨 지음, 허진·안성열 옮김, 열린책들, 2015. 구판은 『체 게바라, 혁명적 인간』, 플래닛, 2010)을 20장부터 22장까지 읽었다. 사실 지난 두세 번의 세미나에서 다룬 내용은 혁명 전쟁이 급격히 진행되는 상황이라 따라가기 벅차고 재미가 덜했는데, 이번에 다룬 내용은 혁명 후 체가 착수했던 작업들과 그 속에 담긴 그의 사상을 담고 있어 무척 흥미로웠다(요약 발제문은 아래 첨부). 무엇보다 감탄스러웠던 것은 그의 넓은 시야. 그는 항상 혁명이 고립되어서는 안 된다고, 늘 세계를 무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그는 묻고 또 묻지 않았을까. 전선은 명확한가, 연대는 견고한가. 나 또한 참..
-
[워크숍] '○○○ 지원자 님, 반갑습니다 with 김윤우 편집자'(4/2)에 대하여오도카니 활동 2022. 3. 23. 14:52
○○출판사에서 역량 있고 재기 넘치는 예비 출판인을 모십니다. 출판공동체 편않의 김윤우 편집자와 함께 여러분의 기쁨과 슬픔, 그리고 고민을 나누어 봅시다. 지원 자격: 출판사 입사를 준비하는 예비 출판인(신입) 실무 면접관: 김윤우 편집자 (○○출판사 & 출판공동체 편않 소속) 면접 내용: 간단한 필기시험과 자기소개 후 면접이 치러집니다. 지원자들과 면접관의 솔직한 Q&A 시간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면접 일정: 2022년 4월 2일(토) 14:00~15:30 / 대면 활동 피면접비: 2만 원 (입금한 분만 신청이 확정됩니다) 신청 링크 신뢰하는 친구, 김윤우에 대하여 김윤우 편집자는 출판공동체 편않의 소중한 동지이자 서기입니다. 그는 크게 소리 높이지 않으며, 묵묵히 제 할 일을 다합니다. 무엇보다 꾸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