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델카스트로
-
"와중, 그는 탄약통을 집어 들었다"_자고세 220428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4. 30. 04:27
그제 '자고세'(자본주의 고민 세미나)에서는 『체 게바라 혁명가의 삶 1』(존 리 앤더슨 지음, 허진·안성열 옮김, 열린책들, 2015. 구판은 『체 게바라, 혁명적 인간』, 플래닛, 2010)을 11장부터 14장까지 읽었다. 멕시코에서 에르네스토는 드디어 피델을 만나는데, 둘의 비교가 재밌다. 요약하자면 피델은 권력 지향적인 반면 에르네스토는 동료 지향적이었다는 그런 얘기. 이 차이가 결국 피델을 오랜 권좌로, 체를 이른 죽음으로 이끌었을까. 여전히 시간을 거스르는 독법은 어렵기만 하고, 한 인물을 이렇게 시간을 들여 살피는 일은 또 오랜만이라 제법 흥분도 된다. 좌우지간 에르네스토는 혹독한 군사 훈련을 받으며 전사로 거듭난다. 동지들은 그를 '체'로 불렀다. 혁명에 투신한 아들을 부모는 이해할 수 없..
-
"헛소리나 좀 덜 하고 싶다"_자고세 220420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4. 22. 14:08
그제 '자고세'(자본주의 고민 세미나)에서는 『체 게바라 혁명가의 삶 1』(존 리 앤더슨 지음, 허진·안성열 옮김, 열린책들, 2015. 구판은 『체 게바라, 혁명적 인간』, 플래닛, 2010)을 6장부터 10장까지 읽었다(요약 발제문은 아래 첨부). 개인적으로 전기라는 장르의 매력을 새롭게 느끼는 중이다. 압도적인 발품을 들여 확인한 사실들에 기초해 한 문장 한 문장 쌓아 나갔다는 사실만으로도 나는 전율을 느낀다. 지독한 수고로 복원해 낸 인생의 장면 장면이 감동적이지 않을 리가 없다. 아무튼, 20대 중반의 에르네스토는 격동의 라틴아메리카를 떠돌며 '체'가 되어 가는 중이다. 의사 면허를 취득한 그는 어떻게든 자신의 의학적 지식과 기술로 사회를 변화시키고 싶었던 모양이다. 「라틴아메리카에서의 의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