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
-
"비록 혼자라도"_오저세 오뉴월에 대한 기록공부 기록 2022. 6. 23. 16:26
지난 5월 16일, 이런 글로 시작을 위한 시작을 알렸다. 명색이 '저널리즘 스쿨'인데, 관련 활동이 전무하다시피 합니다. 부끄럽고요, 시작을 위해 일단 시작합니다. 역시나 읽고, 생각하고, 이야기 나누는 것부터. 그런데 왜 그 첫발이 안수찬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 교수(전 『한겨레』 기자)의 박사학위 논문일까요? 지난해 2월, 그가 오래 일했던 신문사를 떠나 학교로 옮긴다는 소식을 듣고 저는 이런 걸 끄적인 적이 있습니다. "'한 줌도 안 되는 권력'으로 설치는 건 검찰인가, 언론인가. 양비론이 주는 짜릿함도 좋고, 양시론이 주는 안온함도 좋다(동시에 둘 다 나쁘다). 수많은 대중을 단숨에 적으로 돌린 그의 한 마디가 선민의식의 발로였을지도 모른다만, 한국 저널리즘에 뚜렷이 남긴 그의 족적이야 쉽게 ..
-
"석사 논문을 쓰려면 석사 논문을 보자"_편않 회의 220326에 대한 기록출판 기록 2022. 3. 29. 04:33
어찌 됐든 책을 만드는 처지이므로, 이 또한 기록해 보기로 한다. 한동안 계속해 볼 작정이니 활동에 도움이 좀 될까 싶어서. 경력도 일천하고 능력도 빈약하지만, 친구들을 믿고 간다. 든든하다. 혼자라면 결코 계속할 수 없지, 계속하고 싶지도 않고. 그러니까 이건, 또다시 우정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날 안건은 크게 단행본과 홈페이지 현황 공유, 외부 활동 참여 관련 논의, 그리고 기타 제안이었다. 우리는 오랜만에 활기를 띠었다. 단행본: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내가 기획한 시리즈는 올여름 첫선을 보일 계획으로, 저널리즘에 관한 또는 그것을 향한 기나긴 여정의 시작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세 편집자가 각각 담당 저자와 열심히 준비 중이다. 형형색색 어우러지기를. 동료 편집자 A는 형식적으로 '이상한..